초보 새우키울때 놓치면 안되는 것
저의 미천한 경험이지만 초보인 누군가가 이 글을 읽는다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될거라 생각합니다. 몇년간 물생활을 하면서 초반에 놓치고 간과한 부분으로 많은 새우를 저 세상으로 보내기도 했었는데요. 오로지 경험을 통한 이야기이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전 연구하는 사람은 아니니까요.
새우키울 때 중요한 것이 몇가지 있는데요. 소일(바닥제), 물, 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첨가제, 정수필터 물생활을 하려면 여러가지 부가적인 것들이 필요할 때도 있고 사서 시도해 보고 싶기도 합니다.
새우키울때 조심해야 할 것이 있는데요. 줏대없는 것입니다. 비쉬림프 키우시는 분들은 아실테지만 이 새우들이 민감하고 예민하고 까다롭습니다. 아이들이 잘 안자라는것 같다고, 폭번이 안나는것 같다고, 물이 좀 뿌연거 같다고 새우카페를 돌아다니면서 이거저거 찾아보고 질문들도 많이 합니다. 저도 동일하게 했었던 적이 있죠. 그래서 와우 이렇게 해결하는 구나 하고 시도를 해본것입니다. 저는 당시에 어항이 2개 있었는데요. 하나를 시도해보았죠. 하루 이틀 점점 새우들이 저세상으로 가는 것입니다. 남들에게는 잘되었을 지라도 내 새우들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방법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여유가 있을때 실험을 먼저 해보시고 본어항에 적용을 해야 피해를 덜 봅니다.
초보자가 새우키울때 놓치면 안되는 것 몇가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 기본에 충실해야 합니다.
>기본적인 물잡이 부터 시작합니다. 새우들 환경을 만들고, 수초와 조명 등을 설치를 해야 합니다. 물잡이 기간은 한달정도 잡고, 새우환경은 ph, 경도, 물온도 를 맞춥니다.
둘째, 스윙을 최소화 해야 합니다.
>환경이 왔다갔다 하는 것을 스윙이라고 하는데요. ph 스윙을 줄이기 위해 ro수를 사용하게 됩니다. 환수어항을 따로 만들어 미리 ph 등 환경을 만든 물을 주기적으로 교체를 해주기도 합니다.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것이 열대어 보다는 새우가 그렇기 때문입니다. ro를 사용할때 주의해야할 점들이 많습니다. 쓰실 때는 잘 고려하셔야 합니다. 저의 경우 초반에 썼지만 지금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안좋다라기 보다는 현재 ro를 쓰지 않아도 안정화 되었기 때문입니다.
>온도스윙을 막는 방법은 히터기는 필수이고 가능한 새우키우는 방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반대되는 말이긴 한데 온도변화가 너무 4계절 모두 별로 없다면 저는 별로 안좋은 것 같습니다. 온도 편차가 크지 않으면 겨울에는 약간 낮게 설정을 하고 여름에는 약간 높게 평균온도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그런 어항에서 자란 새우들이 면역력이 좀더 강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셋째, 함부로 손을 넣지 마시기 바랍니다. 어항속에요.
>손에 여러가지 세균도 있고 안좋습니다. 새우에게 스트레스를 주기도 합니다. 스트레스에 약한 것이 또한 새우입니다.
넷째, 먹이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너무 많은 양을 줘서 물에 곰팡이가 나고 썩게 되고 물을 망가지게 합니다. 식물성은 조금 덜하지만 동물성은 더더욱 치명적입니다. 새우는 사실 먹이를 많이 안줘도 어항 안에 있는 미생물과 이끼등을 먹으면서도 자라는 아이들입니다. 너무 많은 양은 독이 될 수 있으니 심사숙고해야 합니다.
다
다섯째, 규칙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새우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습니다. 허물을 벗다가도 스트레스를 받으면 그냥 죽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명을 키는 것도 먹이를 주는 것도 일정한 패턴으로 주고 나머지 시간에는 새우들이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도록 자유를 보장해 줘야 합니다. 너무 큰 관심은 새우에게 안좋습니다.
잘 고려해 보고 나만의 방식을 만든다면 반드시 성공할 것입니다.
'물생활 모든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초 키우기 실수하는 것 (0) | 2020.08.29 |
---|---|
어항물 ph와 온도와 암모니아의 관계성 (0) | 2020.08.28 |
구피키우기 실전 (1) | 2020.08.28 |
어항물 세팅과 환수시 적합한 물갈이제 (0) | 2020.06.10 |
새우키우기 어항물 선택과 관리 (0) | 2020.06.01 |